도동쓰의 IT 톡톡

반응형



안녕하세요 도동쓰입니다.

이 카테고리는 제가 공부한 경제학을 적는 공간입니다.

제가 공부한 것을 함께 공유하면서 서로 공부하는 시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경제학을 처음 접한 사람부터, 이제 막 신입생이 되서 공부하는 학생, 시험기간이 임박해 모르는 것을 찾아보는 학생까지 모두 함께 공부했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공부해서 작성한 글은 미시킨교수(Frederic S. Mishkin)의 책 『The Economics of Money, Banking, and Financial Markets <Eleven Edition>』 을 기초로 작성한 것입니다.


이자율이 어떻게 결정 되는지는 채권가격과 이자율의 역의 관계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대부자금이론과

케인즈의 유동성 선호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 두 가지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산 수요결정 요인을 포트폴리오 이론으로 살펴보고, 

채권 및 통화시장에서 수요 - 공급곡선을 도출하여, 시장균형을 분석해서 이자율의 변동을 알아 보려 한다.


자산 수요의 결정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사람들이 자산을 얼마나 가지고 있을 지를 일상생활에서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재산이 많을수록 자산을 많이 가지려 할까? , 그 자산의 기대 수익률이 높을수록 자산을 많이 가지려 할까? 

위와 같은 기본적인 생각에서 부터 자산수요의 결정요인을 찾아볼 수 있다.

자산 수요의 결정요인 살펴보자면 재산 (Wealth), 기대수익률 (expected return), 리스크 (risk), 유동성 (liquidity) 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재산(wealth): 개인이 소유한 모든 자원 (주식, 부동산, 채권)

○ 기대수익률 (expected return): 이 자산을 가지고 있는 기간 동안, 다른 자산과 비교 했을 때 이 자산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얼마나 높은지 생각해보는 것.

○ 리스크 (risk): 이 자산을 보유하면서 생기는 수익률이 다른 자산에 비하여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작은지 생각해보는 것.

○ 유동성 (liquidity): 즉시 현금화 할 수 있는 정도. 다른 자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얼마나 더 높은지 생각해보는 것. 


포트폴리오 선택이론(Theory of Portfolio Choice)


포트폴리오 선택이론은 사람들이 여러 자산들을 각각 얼마나 보유할 것인지 설명하는 이론이다.

포트폴리오 이론에서는 다른 조건(요소)들이 일정할 때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 자산의 수요량은 재산과 정의 관계에 있다.

○ 자산의 수요량은 기대수익률과 정의 관계에 있다.

○ 자산의 수요량은 리스크와 음의 관계에 있다.

○ 자산의 수요량은 유동성과 정의 관계에 있다.


쉽게 말하자면,


- 재산이 증가하면 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다.

- 다른 자산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기대수익률이 높으면, 그 자산에 대한 수요는 증가한다.

다른 자산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높으면, 그 자산에 대한 수요는 감소한다.

다른 자산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높으면, 그자산에 대한 수요는 증가한다.


※ 이 요인들을 채권시장에서 분석해 보면 이자율의 변동의 원인을 찾아 볼 수 있다.


채권 수요곡선의 이동


채권 시장에서 다른 변수는 고정된 상태에서, 각 요인들이 변할 때 수요곡선의 이동은 아래와 같다.



○ 재산(wealth)

경기 호황과 같이 경제상태가 좋아 재산이 증가하면, 동일한 가격에서 채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서

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Shift)한다.


○ 기대수익률 (expected return)

미래 이자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게 되면, 채권의 기대 수익률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채권수요가 줄어

 수요곡선이 왼쪽으로 이동(Shift)한다. (미래 이자율의 상승기대는 채권가격의 하락 예상이기 때문에)


○ 리스크 (risk)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의 리스크가 증가하면, 자산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여 수요곡선이 왼쪽으로 이동(Shift)한다.


○ 유동성 (liquidity)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의 유동성이 증가하면, 그 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Shift)한다.


채권 공급곡선의 이동


채권 시장에서 다른 변수는 고정된 상태에서, 각 요인들이 변할 때 공급곡선의 이동은 아래와 같다.


○ 투자기회의 예상 수익성
채권 시장에서 앞으로 경제가 좋을 것이라 전망하고, 경기상승과 같은 요인으로 수익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투자기회가 늘어나면 채권의 공급이 증가하여, 채권의 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Shift)한다.

○ 기대인플레이션 (Expected inflation)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하게 되면, 기업의 실질차입비용이 낮아져 채권공급이 증가하여, 

채권의 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Shift)한다.


 정부 예산

정부가 재정적자가 늘어나면 국채 발행이 증가하게되며, 채권공급이 증가해 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Shift)한다.


기대인플레이션의 변화와 이자율 변동의 관계 - 피셔효과( The Fisher Effect)


-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기업에서 차입의 실질비용이 낮아져 채권공급의 증가 

(공급곡선이 S1 → S2 / 오른쪽으로 이동)


-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주어진 채권 가격에서 실물 자산(부동산)에 비해 채권의 수익이 낮아짐으로써, 

수요는 감소 (수요곡선이 D1 → D2 / 왼쪽으로 이동)


따라서, 채권가격 하락 = 이자율 상승 (채권가격과 이자율은 반대로 움직임)


여기서 피셔 효과는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시 이자율(명목)이 상승한다는 정리이다.


경기변동과 이자율 변동의 관계


- 경기가 상승시에는 수익이 큰 투자기회가 많아지면서 채권공급이 증가 (공급곡선이 S1  S2 / 오른쪽으로 이동)

- 경기가 상승시에는 소득 상승 등으로 인한 재산의 증가로 채권 수요가 증가 (수요곡선이 D1  D2/ 오른쪽으로 이동)


여기서, 이자율의 변동 방향은 공급곡선과 수요곡선의 변동폭에 따라 결정이 되는데, 

과거의 경험으로는 공급곡선이 수요곡선보다 더 많이 이동함으로써, 채권가격 하락 = 이자율 상승

만약, 공급곡선의 이동보다 수요곡선의 이동이 더 크면 채권가격 상승으로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채권시장에서의 이자율 분석은 명확하게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좀 더 깔끔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유동성 선호이론을 이용하면 이자율 변동 방향을 더욱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마치며,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번에 다 끝내지 못한 이자율의 변동에 대해서 이어서 할 예정이며, 

이번 글 마지막에 말씀 드린 유동성 선호이론을 통해서 이자율의 변동 방향을 분석해 볼 것입니다.


더 궁금한 부분이 있거나,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아래 Comment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omment는 항상 환영입니다.




로그인 없이 공짜로 누를 수 있는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